청년희망적금 가입 못하신 분들을 위한 2023년 청년을 위한 "청년도약계좌"
안녕하세요! 건강한 현콩입니다 오늘은 2022년 청년희망적금 가입 못하신 분들을 위해 2023년 6월 출시될 청년 도약계좌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세대의 중, 장기 자산 형성 지원을 위해 출시된 자산 적금 상품으로 본인 납입금과 정부 기여금, 정부 이자와 추가로 은행이자까지 받을 수 있는 상품이며 이자수익 또한 비과세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아주 요물인데요
대상자 및 요건
청년세대를 위한 사업으로 나이는 만 19세 ~ 34세 이하의 청년만 해당이 됩니다 단, 남성의 경우 병역기간은 제외입니다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하게 소득도 보는데요 개인 소득 6천만원 이하 가구 총소득 중위소득 대비 180% 이하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소득구분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중위소득 100% | 1,944,812원 | 3,260,086원 | 4,194,701원 | 5,121,080원 | 6,024,151원 | 6,907,004원 |
중위소득 180% | 3,740,206원 | 6,221,079원 | 7,982,669원 | 9,721,735원 | 11,395,238원 | 13,010,365원 |
정부지원 혜택
5년 동안 40만 원부터 월 최대 70만 원 납입한도로 이루어지는데요 청년 개인이 납입금 넣고 거기에 정부가 기여금을 지원하고 3~6% 이자소득과 별도의 은행이자 등에 비과세를 적용하여 정부가 2023년 기준 3,678억을 예산을 마련했다고 합니다
정부기여금은 청년 소득에 따라 반비례되는데요 소득이 적은 청년이면 정부에서 지원하는 기여금이 크고 반대로 연소득이 높다면 납입금 70만 원 전액을 본인이 납부해야 합니다 하지만 정부에서 주는 이자와 은행이자가 더해져 이자가 높을 것이고 이자소득에 대한 세금도 비과세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이를 고려하여 본인 자금상황에 맞게 계좌를 만드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대상자 연소득 | 본인 | 정부기여금 | 저축비례 | 납입금 합계 |
2,400만 원 이하 | 30만 원 | 20만 원 | 20만 원 | 70만 원 |
2,400만 원 ~ 3,600만 원 | 50만 원 | - | 20만 원 | |
3,600만 원 ~ 4,800만 원 | 60만 원 | - | 10만 원 | |
4,800만원 ~ 6,000만 원 | 70만 원 | - | - |
5년 동안 납입하면 얼마를 모을 수 있나요?
내가 만약 2,400만원이하의 연소득을 갖고 있는 청년이라면 30만 원 개인 납부를 5년 동안 60개월 하여 1,800만 원이 모아지고 정부기여금 및 저축비례 자금을 40만 원을 합산하게 되면 4,200만 원의 원금이 모이게 됩니다 여기서 끝이 아니죠 정부의 이자 6% 적용했을 때 600만 원 이상의 이자수익이 발생하고 추가로 은행에서 주는 이자까지 더해진다면 대략 5천만 원이 만들어집니다
사실 5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매월 최대 70만 원의 목돈을 묶어놔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지만 비과세혜택은 물론 소득이 낮은 분들은 정부기여금까지 챙겨가실 수 있어서 청년들에겐 더없이 좋은 사업이 아닐 수 없는데요~~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저축 비교
구분 | 청년희망저금 | 청년도약저축 |
대상 | 만 19세 ~ 34세 (남성, 병역기간 제외) | |
출시 | 2022년 02월 | 2023년 6월 출시예정 |
개인소득요건 | 총 소득 3,600만 원 이하 | 총소득 6,000만 원 & 가구소득 180% 이하 |
최대 월 납입금 | 50만 원 | 70만 원 |
정부지원금 | 이자지급, 장려금 | 이자, 정부기여금, 저축 비례금 |
지원금 형식 | 만기까지 납입한 가입자 모두 | 가입자 소득에 따라 차등지급 |
가입기간 | 2년 [24개월] | 5년 [60개월] |
이자소득 | 비과세 혜택 |
2022년에 실시한 청년희망적금과 중복하여 가입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선 아직 확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만약 중복으로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불가한 경우 어떤 부분이 본인에게 이득인지 따져보시고 가입하시길 바랍니다